Compare proclamation with translation

Other translations:

하나님의 긍휼은 그의 진노보다 더 크다.

하나님의 긍휼은 분노보다 크고, 하나님의 사랑은 끝이 없다. 마지막 심판이 형벌을 주는 심판으로 보이지만, 마지막 심판이 비록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에게 끔찍한 운명을 맞이하게 할지라도, 마지막 심판은 새로운 구원 시대의 전주곡이고, 형체로부터 완전하게 구원받는 최종 목표를 위한 새로운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영원히 분노하지 않고, 분노의 자리에 하나님의 긍휼이 나타난다. 비록 오랜 시간이 걸릴지라도, 하나님은 타락한 존재가 다시 높은 곳에 도달하도록 돕는다.

비록 하나님의 공의가 묶임을 받게 하는 고통을 통해 만족을 얻지만,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은 하나님의 공의보다 크다. 하나님은 영원히 분노하지 않는 반면에 하나님의 사랑은 영원하고, 자신의 힘에 의해 생성된 존재에게 적용이 된다. 그러므로 영적인 존재는 하나님의 사랑과 지혜의 산물이고, 이로써 절대로 소멸될 수 없다. 존재는 실제 하나님의 진노로 오랫동안 그의 면전에서 쫓겨날 수 있다. 그러나 하나님은 항상 또 다시 자신의 얼굴을 그에게 향하게 한다. 왜냐면 사랑은 모든 것을 이해하고 용서하기 때문이다.

(1947년 8월 9일) 하나님을 떠난 존재는 연약하다. 하나님은 이런 연약함을 긍휼히 여긴다. 왜냐면 하나님의 본질은 가장 깊은 사랑이고, 사랑은 절대로 전혀 떠날 수 없고, 불씨로써 사랑 자체이고 영원한 불인 하나님을 한때 떠난 존재와 연합하는 일에서 단지 행복을 찾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화염은 그에게 다가 가는 모든 존재에게 증가되고, 그들을 사로잡고, 존재들을 가장 축복받은 존재로 만든다. 한때 그에 의해 생성된 존재가 불행한 가운데 고통 당하는 곳에서, 사랑이 깊어지고, 모든 긍휼로 이런 불행한 존재들에게 다가 간다. 사랑은 영원한 정죄를 하지 않는다. 왜냐면 하나님 자신이 사랑이기 때문에, 하나님과 영원히 멀리 떨어져 있는 일은 절대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타락한 존재가 이에 저항하는 한 연합된 상태가 될 수 없다. 왜냐면 사랑은 절대로 강요하지 않고, 단지 행복하게 해주기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존재는 불행한 상태에 머물고, 이런 상태는 동시에 하나님과의 간격을 의미한다. 하나님과의 간격은 존재가 더 이상 하나님의 사랑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이고, 묶임을 받은 상태이고, 동시에 하나님의 진노 안에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는 존재 자신의 잘못으로 하나님의 모든 사랑의 발산을 포기해야만 하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런 상태가 영구적인 상태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을 새로운 창조물이 항상 또 다시 생성되는 일에서, 이런 창조물들이 다시 하나님의 사랑을 증거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하나님의 긍휼이 자신에게 대적하는 영적인 존재가 창조물 안에 거하게 했고, 영적인 존재들이 창조물 안에서 하나님의 사랑의 힘을 다시 받고, 영적인 존재에게 끝없이 오랜 기간이 지난 후에 자유의지로 원초적 힘에게 전적으로 속하기 위해, 하나님과의 거리를 좁힐 기회가, 원래의 힘과 항상 긴밀한 연결을 이룰 기회가 주어진다.

그러면 존재가 인간으로 육신을 입고,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깨달을 수 있게 되면, 하나님의 사랑이 그에게 더욱 분명해진다. 그러면 존재는 이제 하나님을 사랑하고, 자유의지로 하나님과의 연합을 구할 수 있고, 이로써 존재는 축복되게 될 것이다. 왜냐면 한번 하나님의 사랑에 의해 붙잡힘을 받은 존재는 하나님의 진노를 더 이상 두려워할 필요가 없고, 영원히 하나님의 은혜 안에 머물기 때문이다. 존재에게 사랑의 불이 붙었고, 존재 자신이 화염이 되고, 영원한 사랑과의 연합을 돌이킬 수 없게 이루고, 또한 존재는 저항하지 않고 자신을 헌신하고, 자신을 사랑으로 바꾼다.

아멘

Translator
번역자: 마리아, 요하네스 박

La Miséricorde de Dieu est plus grande que Sa Colère

La Miséricorde de Dieu est plus grande que Sa Colère et Son Amour est infini. Et bien que l’Ultime Jugement soit à considérer comme une punition, bien qu’il émette sur les condamnés un sort épouvantable, il est de toute façon le début d'une nouvelle époque de Libération, il est une nécessité obligatoire pour une remontée renouvelée avec pour but final la libération définitive de la forme. Et donc Dieu n'est pas éternellement en colère, mais à la place de la Colère il vient la Miséricorde de Dieu, Il aide le spirituel mort à arriver de nouveau en haut, même si un temps très long est nécessaire. L'Amour et la Compassion de Dieu prévalent sur la Justice de Dieu, même si celle-ci est satisfaite à travers les tourments de l'être relégué. Il n'est pas éternellement en colère, et Son Amour subsiste éternellement pour ce qui est procédé de Sa Force. Or le spirituel est le produit de Son Amour et de Sa Sagesse et donc il ne peut jamais et encore jamais plus disparaître, il peut cependant être banni de Sa Face pour longtemps par la Colère de Dieu, mais Dieu lui tourne toujours Sa Face, parce que l'Amour comprend et pardonne tout. (09.08.1947) Ce qui est tombé est faible et Il a Compassion de cette faiblesse, parce que l'Être de Dieu Est très profond Amour et Celui-ci ne peut jamais et encore jamais Se détourner, mais Il trouve seulement du Bonheur dans l'unification avec ce qui, en tant qu’étincelle, s'est autrefois éloigné de l'éternel Feu, de Dieu, qui Est l'Amour Même. Son Ardeur croît et consomme tout ce qui s'approche, et Il rend l'être le plus bienheureux, et là où ce qui est procédé de Lui languit dans le malheur, là l'Amour devient profond et se baisse plein de Miséricorde vers ce malheureux, l'Amour ne condamne pas éternellement, parce que cela signifierait un éternel éloignement de Dieu et cela n'est jamais possible, parce que Dieu Est l'Éternel Amour Même. Mais l'état de l'unification ne peut pas se réaliser tant que la substance animique morte offre résistance, parce que l'Amour ne force jamais, mais cherche seulement à rendre heureux. Mais alors l'être reste aussi malheureux, et cet état signifie en même temps éloignement de Dieu, car là où l'être ne sent plus l'Amour de Dieu, c’est un état jugé, un état de damnation, et donc on peut appeler « être dans la Colère de Dieu », là où la substance animique doit renoncer à tout Rayonnement d'Amour de Dieu par sa faute. Mais le fait que cela ne puisse pas être un état durable résulte du fait que de nouvelles Créations se lèvent toujours de nouveau et celles-ci témoignent de nouveau de l'Amour de Dieu, car Sa Miséricorde les destine à être une demeure pour le spirituel qui s'est rebellé ; et cela témoigne de nouveau de la Force d'Amour de Dieu qui donne avec cela à la substance animique la possibilité de diminuer son état d'éloignement de Dieu et d'entrer en contact toujours plus étroit avec la Force Primordiale, pour s'unir entièrement après un temps infiniment long et dans la libre volonté avec cette Force Primordiale. Alors l'Amour de Dieu devient toujours plus évident pour l'être lorsque, incorporé en tant qu’homme, il est en mesure de reconnaître l'Amour et la Grâce de Dieu. Et maintenant il peut même aimer Dieu et chercher dans la libre volonté l'unification avec Lui. Alors il sera bienheureux, parce que ce qui est une fois saisi par l'Amour de Dieu, ce qui n'a plus à craindre la Colère de Dieu, reste éternellement dans Sa Grâce, il s'est enflammé au Feu de l'Amour et lui-même est devenu flamme, alors irrévocablement a lieu la fusion avec l'éternel Amour, dès qu’il se donne sans résistance, dès qu’il s’est lui-même formé à l'amour.

Amen

Translator
번역자: Jean-Marc Gril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