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e proclamation with translation

Other translations:

하나님의 긍휼은 그의 진노보다 더 크다.

하나님의 긍휼은 분노보다 크고, 하나님의 사랑은 끝이 없다. 마지막 심판이 형벌을 주는 심판으로 보이지만, 마지막 심판이 비록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에게 끔찍한 운명을 맞이하게 할지라도, 마지막 심판은 새로운 구원 시대의 전주곡이고, 형체로부터 완전하게 구원받는 최종 목표를 위한 새로운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영원히 분노하지 않고, 분노의 자리에 하나님의 긍휼이 나타난다. 비록 오랜 시간이 걸릴지라도, 하나님은 타락한 존재가 다시 높은 곳에 도달하도록 돕는다.

비록 하나님의 공의가 묶임을 받게 하는 고통을 통해 만족을 얻지만,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은 하나님의 공의보다 크다. 하나님은 영원히 분노하지 않는 반면에 하나님의 사랑은 영원하고, 자신의 힘에 의해 생성된 존재에게 적용이 된다. 그러므로 영적인 존재는 하나님의 사랑과 지혜의 산물이고, 이로써 절대로 소멸될 수 없다. 존재는 실제 하나님의 진노로 오랫동안 그의 면전에서 쫓겨날 수 있다. 그러나 하나님은 항상 또 다시 자신의 얼굴을 그에게 향하게 한다. 왜냐면 사랑은 모든 것을 이해하고 용서하기 때문이다.

(1947년 8월 9일) 하나님을 떠난 존재는 연약하다. 하나님은 이런 연약함을 긍휼히 여긴다. 왜냐면 하나님의 본질은 가장 깊은 사랑이고, 사랑은 절대로 전혀 떠날 수 없고, 불씨로써 사랑 자체이고 영원한 불인 하나님을 한때 떠난 존재와 연합하는 일에서 단지 행복을 찾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화염은 그에게 다가 가는 모든 존재에게 증가되고, 그들을 사로잡고, 존재들을 가장 축복받은 존재로 만든다. 한때 그에 의해 생성된 존재가 불행한 가운데 고통 당하는 곳에서, 사랑이 깊어지고, 모든 긍휼로 이런 불행한 존재들에게 다가 간다. 사랑은 영원한 정죄를 하지 않는다. 왜냐면 하나님 자신이 사랑이기 때문에, 하나님과 영원히 멀리 떨어져 있는 일은 절대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타락한 존재가 이에 저항하는 한 연합된 상태가 될 수 없다. 왜냐면 사랑은 절대로 강요하지 않고, 단지 행복하게 해주기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존재는 불행한 상태에 머물고, 이런 상태는 동시에 하나님과의 간격을 의미한다. 하나님과의 간격은 존재가 더 이상 하나님의 사랑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이고, 묶임을 받은 상태이고, 동시에 하나님의 진노 안에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는 존재 자신의 잘못으로 하나님의 모든 사랑의 발산을 포기해야만 하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런 상태가 영구적인 상태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을 새로운 창조물이 항상 또 다시 생성되는 일에서, 이런 창조물들이 다시 하나님의 사랑을 증거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하나님의 긍휼이 자신에게 대적하는 영적인 존재가 창조물 안에 거하게 했고, 영적인 존재들이 창조물 안에서 하나님의 사랑의 힘을 다시 받고, 영적인 존재에게 끝없이 오랜 기간이 지난 후에 자유의지로 원초적 힘에게 전적으로 속하기 위해, 하나님과의 거리를 좁힐 기회가, 원래의 힘과 항상 긴밀한 연결을 이룰 기회가 주어진다.

그러면 존재가 인간으로 육신을 입고,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깨달을 수 있게 되면, 하나님의 사랑이 그에게 더욱 분명해진다. 그러면 존재는 이제 하나님을 사랑하고, 자유의지로 하나님과의 연합을 구할 수 있고, 이로써 존재는 축복되게 될 것이다. 왜냐면 한번 하나님의 사랑에 의해 붙잡힘을 받은 존재는 하나님의 진노를 더 이상 두려워할 필요가 없고, 영원히 하나님의 은혜 안에 머물기 때문이다. 존재에게 사랑의 불이 붙었고, 존재 자신이 화염이 되고, 영원한 사랑과의 연합을 돌이킬 수 없게 이루고, 또한 존재는 저항하지 않고 자신을 헌신하고, 자신을 사랑으로 바꾼다.

아멘

Translator
번역자: 마리아, 요하네스 박

La misericordia de Dios es mayor que Su ira....

La misericordia de Dios es mayor que Su ira, y Su amor es infinito.... Y aunque el Juicio Final debe ser considerado como un castigo, aunque impone un destino terrible a los condenados, es sin embargo el comienzo de una nueva era de redención, es la necesidad imperiosa de un nuevo ascenso con el objetivo final de la redención completa de la forma. Y por eso Dios no está siempre enojado, sino que en lugar de la ira, la misericordia de Dios se pone en su lugar, ayudando a los caídos a levantarse de nuevo, aunque pase mucho tiempo.

El amor y la misericordia de Dios superan la justicia de Dios, aunque ésta se satisfaga con los tormentos del cautiverio. Él no está enojado para siempre, mientras que Su amor permanece para siempre y está dirigido a lo que ha surgido de Su poder. Lo espiritual es, pues, fruto de Su amor y de Su sabiduría y, por tanto, no puede perecer jamás; puede, en efecto, ser desterrado de Su rostro por la ira de Dios durante mucho tiempo, pero Dios siempre vuelve Su rostro hacia él, porque el amor todo lo comprende y todo lo perdona.

(09.08.1947) Lo que se ha apostato de Él es débil, y está debilidad Le hace tener compasión, porque la Esencia de Dios es el Amor más profundo, y el amor nunca puede apartarse, sino que solo encuentra felicidad en la unión con aquello, lo que una vez como chispa se apartó del Fuego Eterno, de Dios, Que es el Amor Mismo. Su ardor aumenta y consume todo lo que se acerca a Él, convirtiéndolo en el Ser más bienaventurado, y donde aquello que una vez emanó de Él languidece en la miseria, allí el amor se profundiza y se inclina lleno de misericordia a este ser desafortunado.... el amor no condena para siempre, porque eso significaría distancia eterna de Dios y eso nunca es posible porque Dios es el Amor Mismo.

Pero el estado de unión no puede darse mientras el ser caído se resista a Él, porque el amor tampoco obliga, sino que sólo busca hacer feliz. Pero entonces el ser permanece infeliz, y es este estado, que al mismo tiempo significa distancia de Dios, donde el ser ya no siente el amor de Dios, como si fuera un estado juzgado, un estado del destierro, que se puede describir como “estar en la ira de Dios”, donde la esencia tiene que prescindir de toda irradiación del amor de Dios por su propia culpa.

Pero que este estado no puede ser permanente es evidente por el hecho de que surgen constantemente nuevas creaciones y que éstas dan testimonio una vez más del amor de Dios, Cuya misericordia las ha determinado para ser la morada de lo espiritual opuesto a Él; que en ello el poder del amor de Dios vuelve a cobrar protagonismo y da a la esencia dentro de sí la posibilidad de reducir el estado de distancia de Dios, y de entrar en una conexión cada vez más estrecha con el Poder primordial, para, después de un tiempo infinitamente largo, unirse completamente a este Poder primordial en el libre albedrío.

Entonces el amor de Dios se hace cada vez más evidente para el ser, si es capaz de reconocer el amor y la gracia de Dios encarnado en un ser humano. Y ahora también puede amar a Dios y buscar la unificación con Él en el libre albedrío. Y entonces será bendecido, porque lo que una vez ha sido captado por el amor de Dios, lo que una vez ya no tiene que temer la ira de Dios, permanece para siempre en Su gracia, se ha encendido en el fuego del amor y se ha convertido mismo en una llama, y la fusión con el Amor Eterno se realiza irrevocablemente tan pronto como se entrega sin resistencia, tan pronto como ello mismo se ha transformado al amor....

amén

Translator
번역자: Hans-Dieter He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