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ize the greatness of the work of creation as much as you can and recognize the omnipotence of divine love in it; for everything you see was created for you, who are still in an imperfect state and therefore infinitely far away from God. But His love does not want to leave you at this distance and therefore created something as a means to reduce the distance from Him. Creation is a proof of His love and grace, for there is no other path for the spiritual substance which resists Him in order to lead it towards Himself than precisely the path through creation, which requires a certain submission to divine will and this already signifies an approach towards God. However, the will of the being is never forced to approach God. The being is only made aware of what it means to no longer be able to use its free will in order to spur it on to make use of its free will again. The latter must be accomplished by the being itself. Thus the approach to God has never been brought about against the will of the being, once it has taken place, but the being has decided to do so itself and has now allowed the will to become active. And in order to awaken in the being the desire for freedom of will it had to go the long way through creation and learn to experience the bound state as agony, for only then could it consciously strive for freedom. Every work of creation is therefore to be seen as a proof of God's love, as it serves to redeem the being from its state far removed from God, which is neither happy nor satisfying for the being. That which is of God has divine feelings and divine tasks. And the fulfilment of these tasks triggers the highest sense of happiness. However, if the being is so far removed from God through its own fault that it no longer recognizes its task, then the feeling of happiness must also diminish accordingly. The being has therefore become imperfect, and the state of imperfection causes it torment. God's love wants to guide every being back and give it its original fullness of strength again in order to make it capable of its actual task and at the same time to put the being back into the state of bliss. And this can only happen if the being itself relinquishes its will, which is wrong, and subordinates itself to divine will. But the being has lost its power of realization through its distance from God, thus it has to be made clearly aware of its wrong will, and this is why God let creation come into being, which binds the being's will until the being feels the spell as agonizing and wants to be released from it. Then its will starts to turn towards God again and the distance from Him becomes smaller and smaller. And even if the work of creation appears to be a gagging of the will, this is nevertheless the only possibility to let the being feel and recognize the wrongness of its former will, for only the recognition determines the will to take a different direction. However, the will of the being can never be forced, as otherwise perfection could not possibly be achieved again. God's infinite love is always and forever at work to steer everything that has fallen away from Him towards Him again, and everything that is visible to the human being as a work of creation only proves God's great love for the beings which, through their own fault (their own will?), renounced God but can never ever lose their affiliation to Him, they are only meant to regain awareness of their affiliation to God. And this is the purpose of the work of creation, which therefore only expresses God's infinite love, goodness and mercy....
Amen
Translator너희가 창조 역사의 위대함을 깨닫을 수 있을 때, 창조 역사의 위대함을 깨달으라. 그 안에 하나님의 사랑의 전능함을 깨달으라. 너희가 보는 모든 것은 아직 온전하지 못한 상태에 있는, 따라서 끝없이 하나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너희를 위해 창조되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랑은 너희를 이런 먼 거리에 두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과 거리를 줄이는 수단으로 무언가를 창조했고, 창조물은 그의 사랑과 은혜의 증거이다. 왜냐하면 창조물의 과정을 거치는 일 외에 하나님께 대적하는 영적인 존재를 하나님께 인도할 다른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창조물의 과정을 거치는 일은 어느 정도 하나님의 뜻에 순복하는 일이 요구되고, 이는 이미 하나님과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존재의 의지는 결코 하나님께 접근하도록 강요를 받지 않는다. 단지 존재가 자유의지를 다시 얻도록 장려하기 위해, 존재에게 더 이상 자유의지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의식하게 해준다. 존재가 자유의지에 도달하는 일은 스스로 이뤄야만 한다. 그러므로 존재의 의지가 하나님께 다가가는 일이 일어난다면, 이런 일이 절대로 존재의 뜻에 반하여 일어나서는 안 되고, 존재가 그렇게 하기로 스스로 결심하고, 의지를 이제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존재의 의지의 자유를 향한 갈망이 깨어나게 하기 위해 존재는 창조물을 거치는 먼 길을 가야만 했고, 묶임을 받은 상태를 고통으로 경험하는 법을 배워야만 했다. 왜냐하면 그러면 단지 존재가 의식적으로 자유를 위해 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든 창조물은 하나님의 사랑의 증거로 봐야만 한다. 왜냐하면 모든 창조물은 존재를 행복하게 하지도 않고, 만족스럽게 하지도 못하는, 하나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로부터 존재를 구속하는 일을 섬기기 때문이다. 하나님으로부터 나온 것은 신적인 감각과 신적인 과제가 있다. 이런 과제를 성취시키는 일이 최고의 행복감을 갖게 한다. 그러나 존재가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하나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더 이상 자신의 과제를 깨닫지 못한다면, 그에 따라 행복한 느낌도 감소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 존재는 온전하지 못하고, 온전하지 못한 상태는 존재를 고통스럽게 한다.
하나님의 사랑은 모든 존재를 다시 돌아오게 하고, 존재가 자신의 실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시에 존재를 다시 행복의 상태가 되게 하기 위해, 그에게 그의 원래의 풍성한 힘을 주기를 원한다. 이런 일은 존재 자신이 스스로 잘못된 의지를 포기하고, 하나님의 의지에 순복할 때 단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존재는 하나님과의 간격을 통해 그의 깨닫는 능력을 잃었기 때문에, 그의 잘못된 의지를 분명하게 의식하게 해줘야만 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창조물을 생성했다. 창조물은 존재가 묶임을 고통이 충만한 것으로 느끼고, 이로부터 자유롭게 되기를 원할 때까지 존재의 의지를 묶는다.
그러면 그의 의지는 다시 하나님께 향하기 시작하고, 하나님과의 거리는 점점 더 줄어든다. 창조의 작품이 겉으로 보기에는 의지를 묶는다 할지라도, 이런 묶는 일이 존재가 한때 잘못 행한 자신의 의지를 느끼고, 깨닫게 하는 유일한 가능성이다. 왜냐하면 깨달음이 비로소 의지가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존재의 의지에 절대 강요를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강요를 한다면, 존재가 온전함에 다시 도달하는 일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이 언제나 항상 자신으로부터 멀어진 모든 존재들을 다시 돌이키게 하기 위해 일을 한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람들에게 창조물로 보이는 것은 단지, 자신의 잘못으로, 자신의 의지로, 하나님을 떠난, 그러나 그들이 하나님께 속한 소속을 절대로 잃을 수 없고, 단지 하나님께 속했다는 의식에 다시 도달해야 하는 존재를 향한 하나님의 큰 사랑을 증명한다. 하나님께 속했다는 의식에 다시 도달하는 일이 창조 역사의 목적이다. 그러므로 창조물은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과 선함과 긍휼을 나타낸다.
아멘
Translator